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

보조기기 지원사업 안내

등록일 2021-03-25 작성자 정호원 조회수 4788

2021 롯데복지재단 장애아동 청소년 보조기기 지원사업 하단내용 참조

2021 롯데복지재단 장애아동 청소년 보조기기 지원사업
접수기간
2021.3.22.(월) ~ 4.23.(금)
신청대상
이동, 착성, 기립, 보행 등 일상생활을 영위함에 있어 보조기기가 필요한 ⦁장애정도가 심한 지체·뇌병변 장애아동 및 청소년(만 19세 이하) ⦁저소득(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, 차상위계층), 2021년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
지원지역
전국
지원인원
약150명
지원품목
1인 1품목 (150만원 이내 영역별 보조기기 중 선택)
제출서류
⦁지원사업 신청서(소정양식)
⦁경제상황 증빙서류 - 수급자 증명서 / 차상위증명서 - 건강보험 납입 증명서 / 원천징수 택1 해당서류 ⦁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동의서(소정양식) ⦁장애인 등록증(복지카드) 사본 또는 장애인 증명서 ⦁주민등록등본
사업일정
3.22.(월)~4.23.(금) 서류접수, 4.26.(월)~5.7.(금) 서류심사, 5.10.(월)~6.18(금) 현장평가, 6.30.(수) 선정발표 , 7.12.(월)~ 보조기기 지원 (전달식 일정 포함)
지원품목
 
사업수행 협력기관
지역, 수행기관, 직통전화, 이메일 주소로 이루어진 사업수행 협력기관 표
지역 수행기관 직통전화 이메일 주소
서울 서울시동북보조기기센터 070-4258-7444 satsc@daum.net 서울특별시 노원구 덕릉로70가길 96   서울시립뇌성마비복지관 지하1층
서울시서남보조기기센터 02-2662-3495 atsgs@daum.net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대로45길 69   강거뇌성마비복지관 5층 보조기기센터
경기 성남시복지용구공유플랫폼 031-747-2870 jh901226@naver.com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이로63번길 8   101호
성남시복지용구공유플랫폼 070-5129-7441 cool600-18@ept.or.kr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노와길 447
양주시장애인종합복지관 070-5070-8014 yjwel@naver.com 경기도 양주시 삼숭동 640-30
과천시장애인복지관 02-2185-8014 sugwogi@hanmail.net 경기도 과천시 문원로 40
양평군장애인보인보조기기센터 070-4459-5364 yprehab@hanmail.net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중앙로 111번길   36-1(양평군 장애인 복지관)
인천 인천광역시보조기기센터 032-540-8948 icatc@naver.com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양산로 35번길   12-37, 노틀담복지관1층 보조기기센터
대전 대전광역시보조기기센터 042-338-2981 jjhm0517@naver.com 대전광역시 중구 문화로 266   재던충청권역의료재활센터 지하1층 보조기기센터
세종 세종특별자치시보조기기센터 044-715-5320 sjatc@naver.com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589,   301호(도담동 해피라움7)
충남 충청남도보조기기센터 041-415-2865 cnat10582@naver.com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월봉로48   믿음관 114호(쌍용동, 나사렛대학교)
충북 충청북도보조기기센터 070-7209-3264 cbat@daum.net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1순환로   438번길 39-17 충북재활의원 3층
대구 대구광역시보조기기센터 053-650-8342 datc2010@naver.com 대구광역시 남구 성당로 50길33   대구대학교 대명동캠퍼스 평생교육원 1호관 1201호
경북 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 053-850-5801 gbatc@naver.com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201   점자도서관1층 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 1103호
경남 경상남도보조기기센터 055-237-8242 gnatc@naver.com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봉곡로 97번길   85 별관 1층 경상남도보조기기센터
부산 부산광역시보조기기센터 051-790-6196 gome48@naver.com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150번길   15, 부산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, 1층 보조기기센터
울산 울산광역시보조기기센터 052-267-5529 usatc@naver.com 울산광역시 남구 돋질로 131, 1층
전북 전라북도보조기기센터 063-220-3154 wlsdl289@jj.ac.kr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수 천잠로 303,   전주대학교 예술관 B1 전라북도보조기기센터
전남 전라남도보조기기센터 061-740-1506 ksj5306@suncheon.ac.kr 전라남도 순천시 제일대학길   17(덕월동) 순천제일대학교 비봉관 전라남도보조기기센터
광주 광주광역시보조기기센터 062-613-9365 gjat9365@naver.com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   590(본촌동), 호남권역재활병원 1층 보조기기센터
강원 강원도보조기기센터 033-248-7754 gatc2019@naver.com 강원도 춘천시 충열로142번길   24-16 강원도재활병원 2층 강원도보조기기센터
제주 제주특별자치도보조기기센터 064-753-9997 jejuat9997@naver.com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봉로 433   2층 보조기기센터

후원:롯데복지재단

주최: 사)한국뇌성마비복지회

주관: 서울시동북보조기기센터

 

보조기기 소독세척을 기반으로 한 지역사회 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 서비스 하단 내용 참조

보조기기 소독세척을 기반으로 한 지역사회 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 서비스
신청 기간
2021.03.~2021.11 (세부 일정은 담당자와 협의 후 진행)
지원 내용
보조기기 유지관리 (소독 및 세척, 수리(소모품)
보조기기 개조 및 제작 (스마트폰 및 물통 거치대 등)
보조기기 대여
보조기기 순회전시 / 교육
신청 방법
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 홈페이지 >> 지원사업 참고 gbatc.daegu.ac.kr ※ 기관을 통해 신청 가능
문의
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 ☎ 053-850-5800~4

경상북도 보조기기센터 대구대학교

 

 2021 따뜻한동행 첨단보조기구 지원사업 하단내용 참조

2021 따뜻한동행 첨단보조기구 지원사업
접수기간
2021.2.26. (금) ~ 2021.05.27. (목)
지원대상
- 성장 가능성이 높은 역량 있는 20~30대 장애인(만40세 이하)
- 성장의 잠재력이 있는 장애 아동·청소년
지원내용 : 장애유형별 맞춤형 첨단보조기구
- 당사자 및 전문가와 협의를 통한 지원품목 결정
- 예 : ORCAM, 안구마우스, 소보로 탭 등 / 일반 보조기구와 차별
※ 단순 이동 목적의 수동 및 전동 휠체어 지원 제외
선발기준
- 향후 성장&발저 가능성(사회참여 및 기여도)이 높은 만 40세 이하 장애인 (‘81.1.1 이후 출생)
- 장애인 당사자의 장애 정도, 첨단보조기구의 필요성 및 시급성, 활용 계획, 가족의 소득 수준 등 고려
서류 접수
- 신청서, 개인정보동의서, 증빙서류 등을 구비하여 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 측 신청
- 자세한 사항 홈페이지 참고 요망 (gbatc.daegu.ac.kr)
지원문의
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 보조공학사 김지원 ☎ 053.850.5801 ☎

경상북도 보조기기센터

 

SPNU와 함께하는 랩보드 지원사업 하단내용 참조

SPNU와 함께하는 랩보드 지원사업

“장애학생은 전동휠체어에 탑승한 채로 학습, 독서, 식사 등의 일상생활을 수행하는데 편리하고, 안정적인 자세 유지를 할 수 있는 보조기기가 필요합니다. 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는 에스피앤유와 함께 전동휠체어용 랩보드 보조기기를 지원합니다.”

신청기간
상시 지원 ※5명 선착순 지원 후 마감 예정
지원지역
경상북도
지원 대상
⦁정규 초·중·고등학교 과정에 재학 중인 전동휠체어 이용 장애학생
⦁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
지원품목
전동 휠체어 랩보드
지원수량
5개
신청 방법
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(gbatc.daegu.ac.kr) 지원사업 게시글에서 신청서 다운 후 작성
우편, 방문 접수|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201 점자도서관 1층, 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 1103호
이메일 접수|gbatc@naver.com
제출 서류
⦁지원사업 신청서 1부
⦁개인정보수집이용 및 제 3자 제공 동의서 1부
⦁장애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1부 (복지카드 앞뒤사본 또는 장애인증명서)
소득상황 등 증명 가능한 서류 1부
문의
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 보조공학사 김지원 (☎ 053-850-5801)

후원: SPNU

주관: 경상북도 보조기기센터

 

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와 함께하는 3D 프린팅 맞춤형 보조기기 지원 사업 하단내용 참조

신청기간
상시모집
지원 대상
경상북도 내 거주자 중 전동휠체어 이용 장애인
지원 내용
휠체어 조이스틱 (ㄷ자형 (size : 중, 대), 일자형, 원형(One size)) 무상 지원
⦁ 해당 보조기기의 사이즈 조절이 필요할 경우 자체 제작 가능
신청 방법
보조기기 지원신청서, 개인정보활용동의서 작성 후 방문, 우편 이메일 접수
⦁ 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 홈페이지에서 신청서 다운로드 가능
사업절차
신청>접수>적합성평가(현장 방문) > 보조기기 적용 > 사후관리

문의 : 보조공학사 안현준 053-850-5803

ㄷ자형 조이스틱, 일자형 조이스틱, 원형 조이스틱

보건복지부/경상북도/경상북도 보조기기센터

 

2021 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와 함께하는 전동휠체어, 전동스쿠터 배터리 복원 사업 하단내용 참조

2021 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와 함께하는 전동휠체어, 전동스쿠터 배터리 복원 사업

“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에서는 경상북도 내 장애인의 재정부담 감소와 이동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성능이 저하된 배터리의 성능을 복원하여 재사용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지원합니다.”

신청대상
– 경상북도 내 거주하고 있는 전동이동보조기기 이용자
- 현재 배터리 사용기간이 6개월 이상인 자
신청기간
상시모집
신청방법
- 개인) 센터에 내방시 가능 (사회복지시설 등의 기관에서 2~3명 일괄 신청 바랍니다.)
- 기관) 2~3인 모인 경우 기관에서 신청 가능
- 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 홈페이지 내 양식을 다운로드 받아 이메일로 서류 접수
지원절차
※ 서비스 일정은 본 센터와 협의 후 진행
① 신청 문의 (신청서 작성 후 이메일 접수 gbatc@naver.com) , ② 기관 방문 (배터리 상태 점검, 배터리 교체 후 수거), ③ 서비스 진행 (배터리 테스트 및 복원, 최소 1주~2주 소요) , ④ 완료 (배터리 교체 확인 및 사후관리)
※ 배터리 체크 후에 셀이 망가져 있거나 배터리 효율이 현저히 떨어져 복원이 안된다고 판단할 경우 서비스 불가
※ 납배터리인 경우 겨울철에 배터리 효율은 낮을 수밖에 없으며 배터리 복원 시 성능이 증가하거나 떨어질 수 있음
신청문의: 경상북도보조기기센터 보조공학사 안현준 (☎ 053-850-5803)
- 주소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 점자도서관 1층, 1103호
- 홈페이지 gbtc.daegu.ac.kr
- 이메일 gbatc@naver.com

경상북도 보조기기센터

 

1. 보조기기센터에서 주관하는 롯데복지재단 보조기기지원사업은

  장애정도가 심한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인(만 19세 이하)을 대상으로 지원할 수 있습니다.

 

2. 따뜻한동행에서 주관하는 첨단보조기구 지원사업은

  만 40세 이하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지원할 수 있습니다.

  (성장 가능성이 있는: 예를 들어 취직을 위한, 대학생활을 위한 등)

 

3. 또한, 보조기기 소독세척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사회 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 서비스는

  여러 지원 내용이 있으니 홈페이지에서 확인 부탁드립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