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1학년도 신입 장애학생 교육 지원 기초조사 및 개별상담 안내
등록일 2021-01-27
작성자 정호원
조회수 6337
2021학년도에 입학하는 신입생 여러분 반갑습니다.
입학 전 장애학생들의 활기차고 안전한 학교 생활 지원을 위해 기초 조사 및 개별 상담을 하고자 합니다.
아래 사항을 참고하셔서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.
기초 조사 및 개별 상담 신청서 제출할 곳: 이메일 perfect@daegu.ac.kr
양식: 아래 첨부파일 참조
감사합니다.
※ 시각장애학생 및 원고 열람이 필요한 경우 아래 첨부 파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Ⅰ. 개요
1. 목적
- 가. 장애학생 특성 및 정도에 따른 지원 계획 수립
- 나. 장애학생 맞춤 지원 서비스 안내
- 다. 장애학생 초기 대학생활의 적응 지원
- 라. 신입생의 대학생활에 필요한 각종 정보 안내
2. 기초조사 및 개별 상담 신청
- 가. 신청 기간: 2월 2일(화) ~ 2월 9일(화)
- 나. 신청 대상: 2021학년도 신입학 장애학생
- 다. 신청 방법: 장애학생지원센터 홈페이지 → 공지사항 → 기초조사서 작성 → 이메일 신청(perfect@daegu.ac.kr)
3. 개별 상담
- 가. 상담 기간: 2월 15일(월) ~ 2월 19일(금) 10:00~16:00
- 나. 상담 방법: 대면 상담 및 비대면 상담(전화, ZOOM)
- 다. 상담 장소: 대구대학교 경산캠퍼스 장애학생지원센터(특수교육기념관 1층)
- 다. 상담 대상: 2021학년도 신입 장애학생 및 학부모

4. 장애학생 지원 흐름도
-
기초조사
- 대학생활에 지원에 필요한 기초조사 * 보장구, 의사소통, 보조공학기기, 거주지 등 조사
-
개별 상담
- 장애특성별 상담 * 장애학생 및 학부모 집중 상담 * 도우미 지원 정도 확인
-
지원 계획 수립
장애학생특별지원위원회 심의 및 장애인위원회 회의
-
대학생활 지원
- 학과 연계하여 대학생활 지원 * 도우미 지원 연계 * 교수·학습 지원 연계
Ⅱ .주요 일정
| 일정 | 내용 | 비고 |
|---|---|---|
| 2021. 01. | 추진 계획 수립 | |
| 2021. 02. 02. ~ 02. 09. | 기초조사 실시 | 대상 신입생: 44명 내외 근거: 장애인 대상자 전형 예치금 납부자 |
| 2021. 02. 22. | 입학식 | DU새내기 인성캠프 지원 ※ 코로나 대응 상황에 다라 변동 가능 |
| 2021. 02. 22. ~ 02. 23. | 신입생 수강신청기간 | 장애학생 교과목 홍보 |
| 2021. 02. 27. ~ 02. 28. | 시각장애학생 보행훈련 | 한국시각장애인복지관 협조 ※ 코로나 대응 상황에 다라 변동 가능 |
| 2021. 03. 02. | 개강 |

Ⅴ. 장애학생 지원 사항 안내
| 교수·학습 | |
|---|---|
| 수어통역&교육속기 (청각장애) | 전문 수어통역 및 교육속기를 통한 수업 지원 |
| 교과 보조 (발달, 중복장애) | 도우미학생을 통해 수업 보조 지원 |
| 노트필기 제공 | 같은 수업을 듣는 도우미학생이 노트필기 제공 |
| 대체자료 제작 (시각장애) | 수강 교과목의 주, 부교재를 대체자료(점자, 확대)로 제작 지원 |
| 시험 편의제공 (시각·지체· 뇌병변장애) | 시험에서 대독, 대필, 노트북, 점자정보단말기 및 도우미 지원 |
| 학습보조기구& 보조공학기기 | 보조기구(휠체어, 흰지팡이 등)와 보조공학기기(한소네, 확대 독서기 등) 대여 |
| 튜터링 (발달, 중복장애) | 학과 선배 도우미학생과 함께 수업 보충 멘토 지원 |
| 생활·복지 | |
| 교내 활동 (개별상담 후 지원 결정) | 캠퍼스 내 이동, 식사, 과제 등 다양한 학교생활에 필요한 활동 지원 |
| 기숙사 | 장애학생 기숙사 우선 선발 가능(1차 신청에 한함) (장애인증명서 1부 제출) |
| 룸메이트 매칭 지원 | 시각·지체·뇌병변 중증장애학생 룸메이트 매칭 지원 |

| 취업·진로 | |
|---|---|
| 상담 | 학교생활·진로·취업 상담 장애영역 및 특성별 맞춤형 상담 |
| 자격증 대비반 | 각종 자격증(컴퓨터 활용능력, 토익, 수어통역사, 농통역사, 점역 교정사) 취득 대비반 운영 |
| 취업·창업 캠프 | 자기개발, 자존감 향상, 이미지 메이킹, 자기소개서 및 이력서 관리 등 다양한 취업·창업 프로그램 운영 |
| 해외 연수 | 다양한 해외 연수 운영 및 참가 |
| 각종 대회 참여 | 각종 대회(기능경기대회, 전국장애인체육대회 등) 참여 |
| 장애학생 교과목 운영 | 장애학생의 개별 특성에 맞춘 교과목 운영 <1학기 개설> 시각장애 컴퓨터활용, 미국수화(1), 장애학생수영 <2학기 개설> 미국수화(2), 수중재활스포츠, 파크골프, 휠체어테니스 |





